분류 전체보기 80

고구려 : 미천왕의 약진과 고국원왕의 시련

제15대 왕 미천왕은 즉위 초부터 중국과 매우 치열하게 대립하였다. 313년, 낙랑군을 공격 해 멸망시키고 314년, 대방군을 병합했다. 315년에는 현도성을 공격해 멸망시켰다. 이로써 한나라가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만든 한사군을 모두 축출하게 되었다. 뒤를 이어 제16대 고국원왕이 왕위에 오르고, 342년 겨울에 모용부 선비족이 세운 전연의 모용황은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에 쳐들어왔다. 모용황은 고국원왕의 아버지인 미천왕의 미천왕릉을 파헤쳐 미천왕의 시신을 가져가는 만행을 저질렀다. 343년, 고국원왕은 동생 무를 보내 전연에 부왕인 미천왕의 시신을 돌려받았다. 이후 전연은 전진의 공격을 받아 370년에 멸망하게된다. 이 시기 중국은 5호 16국 시대였고 전연과 전진 모두 그때 세워진 국가였다. 369년,..

한국사 기본 2021.05.31

차수 속성

1. 그래프는 정점(vertex)과 모서리(edge)로 구성된다. 정점의 가장 간단한 속성 중의 하나로 차수(degree)를 들 수 있다. 어떤 정점에 연결된 모서리의 개수를 그 정점의 차수라고 부른다. 2. 무방향 그래프에서 모서리를 하나 추가할 때 마다 모서리 양 끝의 정점의 차수가 1씩 증가하므로, 결국 그래프에 있는 모든 정점의 차수 합은 모서리 개수의 두 배가 된다. 따라서 차수가 홀수인 정점의 개수는 반드시 짝수다. 3. 방향성 그래프는 입력 차수(in-degree, 정점으로 들어오는 모서리의 개수)를 모두 더한 값이 출력 차수(out-degree, 정점으로부터 나가는 모서리의 개수)를 모두 더한 값과 같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4. 사이클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를 트리라고 부른다. 차수가 1..

IT 2021.05.31

최적화 문제 동적 계획법 레시피, 배낭 문제(냅색 문제)

[최적화 문제 동적 계획법 레시피] 1. 모든 답을 만들어 보고 그중 최적해의 점수를 반환하는 완전 탄색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2. 전체 답의 점수를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남은 선택들에 해당하는 점수만을 반환하도록 부분 문제 정의를 바꾼다. 3. 재귀 호출의 입력에 이전의 선택에 관련된 정보가 있다면 꼭 필요한 것만 남기고 줄인다. 문제에 최적 부분 구조가 성립할 경우에는 이전 선택에 관련된 정보를 완전히 없앨 수도 있다. 여기서 우리의 목표는 가능한 한 중복되는 부분 문제를 많이 만드는 것이다. 입력의 종류가 줄어들면 줄어들수록 더 많은 부분 문제가 중복되고, 따라서 메모이제이션을 최대한도로 활용할 수 있다. 4. 입력이 배열이거나 문자열인 경우 가능하다면 적절한 변환을 통해 메모이제이션할 수..

IT 2021.05.31

동적 계획법과 메모화 재귀

1. 도입 1) 중복되는 부분 문제동적 계획법은 큰 의미에서 분할 정복과 같은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동적 계획법을 사용하는 알고리즘들 또한 처음 주어진 문제를 더 작은 문제들로 나눈뒤 각 조각의 답을 계산하고, 이답들로부터 원래 문제에 대한 답을 계산해 내기 때문이다. 동적 계획법과 분할 정복의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은 문제를 나누는 방식이다. 동적 계획법에서 어떤 부분 문제는 두 개 이상의 문제를 푸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의 답을 여러 번 계산하는 대신 한 번만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재활용함으로써 속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문제의 답을 메모리에 저장해 둘 필요가 있다. 이때 이미 계싼한 값을 저장해 두는 메모리의 장소를 캐시(cache)라고 부르며, 두 번 이상 계..

IT 2021.05.31

동적 계획 알고리즘, 동적 프로그래밍

동적 계획(Dynamic Programming)알고리즘은 그리디 알고리즘과 같이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이다. 동적 계획 알고리즘은 먼저 입력 크기가 작은 부분 문제들을 모두 해결한 후에 그 해들을 이용하여 보다 큰 크기의 부분 문제들을 해결하여, 최종적으로 원래 주어진 입력의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이다. 동적 계획 알고리즘에는 부분문제들 사이에 의존적 관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관계는 문제 또는 입력에 따라 다르고, 대부분의 경우 뚜렷이 보이지 않아서 '함축적인 순서'라고 한다. 동적 프로그래밍은 문자열과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가 정해진 항목과 관련된 문제에서 최적의 풀이를 구하기 위한 것으로, 매우 강력하면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쓰일 수 있다. 동적 프로그래밍을 이용해서 똑같은 계산을 반..

IT 2021.05.31

고구려 : 고구려의 건국과 위나라와의 결전

BC37년 주몽은 졸본 오녀산성에서 고구려를 건국한다. 그의 아들 유리왕이 수도를 국내성으로 옮긴 뒤 장수왕이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기 전까지 400년동안 그곳을 기반으로 발전한다. 6번째 왕인 태조왕때부터 본격적인 정복활동을 시작하는데 그는 주변국인 옥저를 병합하고 동예를 공격한다. 고구려는 5개의 부족의 연맹체였는데 왕족과 왕비족이 있었다. 왕이 죽거나 폐위되면 왕족 중에서 가장 훌륭한 사람이 다음 왕이 되는 풍습이 있었다. 그리고 왕비는 왕비족에 속한 사람 중에서 선발했다. 그러나 9번째 왕인 고국천왕 때에 이르면 왕권이 크게 강화되어 왕위 부자 상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고구려는 더욱 중앙 집권화된 국가로 거듭날 수 있게 되었고 왕이 귀족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전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한국사 기본 2021.05.30

고구려 : 고구려 건국 당시 중국의 상황

[중국 역사 흐름] 우리는 하나라, 은나라, 주나라,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나라를 거쳐 고조선을 멸망시킨 한나라까지 알아봤었다. 여기까지는 모두 중국 한족의 역사다.고구려가 건국된 연도는 BC37년으로 당시 중국은 한나라(BC207 ~ 220)였다. 한나라는 220년 위나라의 건국이후 221년 촉한, 222년 오나라가 건국 되며 세 나라로 분열된다. 이것을 중국의 삼국지라고 부른다. 세 나라는 위나라를 계승한 진나라에 의해 통일된다. 하지만 진나라는 팔왕의 난을 겪으며 30년만에 멸망하게 된다. 진나라는 봉건제도를 시행하고 있었는데 8명의 왕이 서로 진나라의 황제가 되기 위해 15년 동안 다툰 것을 팔왕의 난이라고 부른다. 이후 진나라의 국력은 크게 약해지고 316년 흉노족의 전조에 의해 멸망한다. 한..

한국사 기본 2021.05.29

한반도에만 존재하는 백제인의 혈액형, CIS-AB형

2015년에 비극적인 살인이 있었다. A형과 B형만이 AB형의 아버지와 O형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날 수 있지만 그들 사이에서 O형 딸이 태어났다. 아버지는 아내의 불륜을 의심하고 15일 된 딸을 살해했다. 하지만 혈액형 검사 결과 그의 혈액형은 정상적인 AB형이 아니었다. 그는 CIS-AB형이었다. 이 혈액형은 일반적인 유전자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일반적인 AB형은 AO/BO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A형과 B형만이 O형 사이에서 태어날 수 있다. 그러나 CIS-AB 혈액형은 AB/A, AB/B, AB/O 형태 모두 가능해서 A, B, AB, O형의 자식이 태어날 수 있다. 이 혈액형은 과거 백제가 존재했던 한반도 남부의 전라도에서만 발견되는 혈액형이다. 따라서 이 혈액형은 해외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

고수 전쟁 배경 및 요약

​1.배경 *중국 한나라가 멸망한 후, 중국 대륙은 혼란을 겪었다. 수왕조는 589년에 중국을 통일했고 주변 모든 민족이 수나라에 복종했다. *한국 한나라가 고조선을 멸망시킨 후 고조선 땅에 한사군을 세웠다. 한사군은 군사력을 가진 4개의 행정구역이었다. 고구려는 부여의 주몽에 의해 BC37년에 세워졌고 살아남기 위해 한사군에 대적하며 성장했다. 환경이 척박했기 때문에 고구려인들은 매우 호전적인 성향이었다고 한다. 고구려는 한사군을 멸망시키고 부여를 흡수했다. 이후 고구려는 만주 평야를 차지하고 그곳에서 말을 기르고 많은 철을 생산했다. 그 결과 고구려군은 강력한 철기병을 자랑했다. 2. 제1차 고수 전쟁 고구려의 보호를 받던 거란족과 여진족은 고구려를 배반하고 강대국인 수나라에 항복했다. 고구려는 수나..

조선 통신사와 도자기

조선통신사는 조선시대의 방탄소년단으로 불린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으킨 임진왜란이 끝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가를 멸망시켰다.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조선으로부터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해 조선에 국교 재개를 요청했다. 조선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이에야스의 끈질긴 요구에 국교 재개를 수락했다. ​조선은 일본에 통신사를 파견했는데 그 숫자는 약 400명 정도였다. 조선통신사가 지나가는 일본의 지역은 유행의 흐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모두들 통신사로부터 서예 작품과 그림을 얻기 위해 줄을 섰고 통신사는 그 일이 너무 힘들어 잠을 제대로 못 자서 울기까지 했다는 기록이 있다. ​한편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도자기 장인들은 일본 도자기의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냈다. 그것이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