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역사와 문화

사군자 종류와 의미

King Attila 2021. 5. 29. 13:16
728x90

사군자는 네가지 고귀한 사람을 의미한다.
사군자는 조선 사대부들의 이상이었고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가 있다.
이 식물들은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계절별로 각 식물들이 그 특성을 드러낸다.

봄: 매화는 겨울 추위에 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매화는 서리와 눈을 두려워하지 않고 얼어붙은 땅에 고운 꽃을 피운다. 
맑은 향기를 풍기며 그 향기는 충실함과 항상성을 상징한다.

여름: 난초는 여름에 들판에서 밝은 색과 은은한 향기를 발산한다.
난초는 고매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 고매한 모습이 사방으로 펼쳐나간다. 난초의 꽃은 그 향기는 방 안에 가득 차서 열흘이 지나도 그치지 않는다. 
사대부들은 난초가 미묘한 향기로 사람들을 교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사대부들의 고귀한 모습이 널리 퍼지고, 그 모습으로 주위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교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을: 다른 꽃들이 피는 봄과 여름이 지나고 서리가 내리는 늦가을이 되면 국화가 혼자 핀다. 따라서 국화는 은둔지에 비유되었다. 세상에 얽매지이 않고 그들 고유의 방식으로 살아간다. 이것은 사대부들이 속세를 벗어나 유유자적하는 삶을 이상향으로 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겨울: 대나무는 추운 겨울 모든 식물들이 잎을 떨어뜨렸을 때도  푸르고 싱싱한 잎을 유지하는 식물이다. 이것은 사대부들이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신의를 지키는 것을 의미한다.

728x90